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 경기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0:50
본문
Download : 방통대 경기방언.hwp
이는 또한 모음체계상 /o/와 / /가 원순성에 의한 대립을 이루고 있는 짝임을 전제로 한다. 이런 움라우트 현상은 18세기부터 나타나기 처음 했는데, 본래 움라우트 현상은 남부지역에서 17세기쯤에 일어나 북쪽으로 전파된 것이다.순서
경기방언,방언연구,지역방언,기타,방송통신
1.경기방언의 特性(특성)
1) 음운론적 特性(특성)
2) 문법론적 特性(특성)
3) 어휘의 의미적 特性(특성)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어휘와 문장 수록
경기도 방언의 음운현상으로는 움라우트 현상, 비원순모음화 현상, 구개음화현상이 있다아 움라우트 현상으로 후부모음과 전부모음이 대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아 경기도 방언에서의 움라우트 현상은 주격어미 '-이'나 접사 '-기'가 제약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령 '밭이>바치(田)'…(省略)
Download : 방통대 경기방언.hwp( 64 )
설명
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 경기방언






1.경기방언의 property(특성), 1) 음운론적 property(특성), 2) 문법론적 property(특성) , 3) 어휘의 의미적 property(특성), ,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어휘와 문장 수록, , , , data(資料)크기 : 112K
방송통신/기타
1.경기방언의 특성, 1) 음운론적 특성, 2) 문법론적 특성 ,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어휘와 문장 수록, , , , FileSize : 112K , 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 경기방언기타방송통신 , 경기방언 방언연구 지역방언
다. t-구개음화 또한 경기도 방언에서 잘 나타나는 음운현상이다. 비원순모음화 현상으로는 18세기부터 watch되는 비원순모음화 현상인 'o> ' 현상이 많이 발견된다 가령 '본>번', '본전>번전', '보리> 버리', '몬져>먼저'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다아 이는 /o/가 선행하는 자음의 원순성 자질로 인해, 뒤에 겹쳐지는 원순모음의 자질이 상실되는 것에서 기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