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공동연구 및 세미나, 서울·대전 고착화 뚜렷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0:16본문
Download : 20041110-.jpg
이와 달리 전북과 경남에서는 政府(정부) 지원 국제공동세미나가 한 건도 열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과학재단(이사장 권오갑)에 따르면 2003년 한 해 동안 169개 국제공동연구지원과제(problem)에 총 24억7000만원의 政府(정부) 예산이 투입된 가운데 △서울 73개 과제(problem)(43.2%), 10억7900만원(43.7%) △대전 24개 과제(problem)(14.2%), 3억1200만원(12.6%)으로 수도권 편중현상이 뚜렷했다.
반면 울산과 충남은 단 한 건의 지원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나머지 지역들도 과제(problem) 수 및 금액 측면에서 10%를 넘어선 곳이 없었던 것으로 집계됐다.순서





국제공동연구 및 세미나, 서울·대전 고착화 뚜렷
과기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政府(정부)가 국제공동연구 및 국제공동세미나를 지원하기 스타트한 1996년부터 서울, 대전 집중현상이 고착화됐다”면서 “기업체는 물론이고 연구·교육기관이 두 지역에 집중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과학기술부가 한국과학재단을 통해 지원하는 국제공동연구 및 국제공동세미나가 서울·대전에 집중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균형잡힌 예산배분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제공동연구 및 세미나, 서울·대전 고착화 뚜렷
다.
레포트 > 기타
설명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국제공동연구 및 세미나, 서울·대전 고착화 뚜렷
과기부는 앞으로 △지방과학기술혁신사업 △지역협력연구센터(RRC)육성사업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지방연구중심대학육성사업 등을 통해 지역별 지원편중현상을 改善(개선) 할 토대를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국제공동연구 및 세미나, 서울·대전 고착화 뚜렷
그는 또 “국제공동연구가 활발해야 세미나도 늘어나게 마련인데 아직까지 국가균형발전체계가 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政府(정부)의 지방분권화 정책에 탄력을 붙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Download : 20041110-.jpg( 52 )
政府(정부) 지원 국제공동세미나 2003년 실적도 58개 과제(problem), 5억4800원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 26개 과제(problem)(44.8%), 2억4300만원(44.3%) △대전 9개 과제(problem)(15.5%), 1억1100만원(20.3%)으로 편중현상이 더욱 극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