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칸 건축의 장면적 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07:32
본문
Download : 루이스 칸 건축의 장면적 요소_3492.hwp
빛을 유입하는 큰 중정 이 실체가 된 느
낌이다.
하지만 여기서 보여지는 것은 서고 과 열람 공간이 배경적인 의미를
더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중정을 둘러싸는 요소이고 실체적 요소이지만 배경으로 작용하는 요소
로서의 느낌이 더 크다. 인도 경영대 학의 여건에
호수가 맞지 않는 요소인 것을 알면서도 루이스 칸이 호수를 고집한
것은 보이는 호수보다는 이때 호수가 갖는 의미를 더욱 중요시 한 것
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호수`를 실체로 볼 것인지... , 루이스 칸 건축의 장면적 요소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루이스 칸의 인도 경영대학에서 호수의 의미를 학생과 교수간의 거리
Download : 루이스 칸 건축의 장면적 요소_3492.hwp( 82 )
루이스 칸 건축의 장면적 요소
설명
의 의미로 해석하 는 학저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공간의 연출의 장면의 연출 로 보고자 한다. 여기서 `호수`를 실체로 볼 것인지
...
순서
루이스 칸의 인도 경영대학에서 호수의 의미를 학생과 교수간의 거리
의 의미로 해석하 는 학저도 있따 여기서 `호수`를 실체로 볼 것인지
, 아니면 `거리`를 실체로 볼 것인지 는 보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겠으
나, 여기서의 실체는 `거리`로 보고 싶다. 상상 속의 공간은 2차원으로 투영될 것이
다. 물론
단순한 의미의 장면은 보이는 것만을 의미하겠지만 추상적인 의 미…(To be continued )
,공학기술,레포트
다. 이 벽체
는 벽체로서의 느낌보다 기둥으로 생각되는 구조체로서의 인상이 더
큰 것 같다.
루이스 칸의 액스터 아카데미 도서관의 중정에 있어서 도서관과 관련
된 시설들이 실체 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인 생각일 것이다. 그리고 그 실체를 둘러쌓고 있는 요소중에 큰 원이 뚫린 아치
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따 `벽에 구멍이 뚫랴져서 창문의 유용성을 갖
는다` 라는 말과 같이, 벽이라고 생각된 요소 에 원이 뚫어져 열람의
공간과 중정을 잇는 요소로서의 유용성을 갖게 된 느낌이다. 카메라 랜즈로 어떤 광경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기 위한 연출은 아닐까? 이처럼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큰 요소로 서
로 상반되기도 하고 서로 어우러지기도 하 는 실체와 여백이 있따
◎장면의 연출
`장면`이라고 하면 2차원적 성격의 인식이 강하다. 작가가 어떤 예술
작품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3차원의 공간으로 모든 것을 구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루이스 칸의 인도 경영대학에서 호수의 의미를 학생과 교수간의 거리의 의미로 해석하 는 학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