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3:00
본문
Download : 정치과정.hwp
3. 올슨(M. Olson)의 집단theory
올슨(Mancur Olson, Jr.)은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1968)에서 합리적 선택theory 의 관점에서 마르크스의 계급theory 과 기존의 다원주의theory 을 비판하고, 개인과 집단의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는 대구모의 잠재적 집단은 집합재와 비집합재를 `함께 끼워 팔`(tied sale) 수 있어야만 합리적인 개인에게 비용을 분담하려는 의식을 고무시킬 수 있다는 `부산물theory `과, 소집단은 소수를 위한 특수이익을 위해 자발적이고 직접적으로 조직을 만들어 행동할 수 있다는 `특수이익theory `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실업계와 같은 소집단은 대집단에 비해 정치적으로 유리하며, 이들의 특수이익은 비활동적이고 비조직적인 국민들의 이익을 압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올슨의 집단theory 은 정치현상을 경제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합리적 선택접근법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theory 은 ①사회에 실재하는 것은 개인과 그의 행위일 뿐이며, ②개인들 또는 그의 행위 속성 그리고 그들 사이의 관계로 definition 되지 않는 개념(槪念)은 무의미하며, ③대규모 사회현상에 관한 법칙은 미시적 법칙으로 환원될 수 있어야 한다는 `방법론적 개인주의`(methodological individualism)에 기초하고 있다
----------------------------------------------------------------------
그러나 올슨의 집단theory 은 자선적 로비나 종교적 로비와 같이 합리성이 낮은 집단에는 적용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의 theory 은 마르크스주의에서 말하는 유토피아와 같이 무한의 …(省略)
순서


올슨(Mancur Olson, Jr.)은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1...
정치과정
Download : 정치과정.hwp( 74 )
3. 올슨(M. Olson)의 집단이론(理論)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3. 올슨(M. Olson)의 집단이론올슨(Mancur Olson, Jr.)은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1... , 정치과정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다. 그는 집단을 `소집단`, 즉 소비에 있어서 경합성이 없고 배제원칙의 적용이 불가능한 공공재를 자발적으로 공급하는 특권적 집단과 `대집단`, 즉 강제나 선택적 유인이 없이는 집합재가 공급되지 않는 잠재적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합재가 공급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집단을 중간적 집단으로 분류하였다.